한국에머슨(대표 정재성)은 지난 25일부터 27일까지 킨텍스(KINTEX)에서 열린 수소산업 전시회 ‘H2 MEET 2024’에 참가해 수소 경제를 위한 자동화 솔루션 소개했다고 30일 밝혔다.
한국에머슨은 이번 전시회에서 자사의 새로운 아키텍처 비전 ‘무한 자동화(Boundless Automation)’를 소개했다. 에머슨은 데이터 문제에 직면한 고객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데이터 사일로를 제거하고 AI와 머신러닝, 분석과 같은 고급 컴퓨팅 도구를 활용해 소프트웨어 영향력 확장과 민첩한 고성능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청정 수소 생산을 가속화하는 지능형 필드 디바이스부터 소프트웨어까지 수소의 생산, 저장, 운송, 활용 전 주기에 걸친 통합(End-to-end) 자동화 솔루션을 소개해 큰 관심을 받았다.
이와 더불어 △액화 수소에 적용 가능한 초극저온 밸브, △암모니아 저장과 운송 시 부식과 침식, 누출을 방지하는 측정, 제어, 원격 포트폴리오, △수소 발전과 고압 충전 분야를 위한 솔루션 등 독보적인 제품 포트폴리오와 혁신 기술을 선보였다.
또한 맞춤형 디지털 프로그램 ‘마이에머슨(MyEmerson)’을 통한 제품 솔루션 시연 체험과 고객 부스 투어, 기술 상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한국에머슨은 이번 전시회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H2 이노베이션 어워드 2024’에서 저장 및 운송부문 우수상을 2년 연속 수상하는 성과를 거뒀으며, 컨퍼런스를 통해 수소 산업 비전과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시간도 가졌다. ‘테크 토크(Tech Talk)’ 세션에 참여한 한국에머슨 손혁준 S&D(Sustainability & Decarbonization) 기술 엔지니어는 수소 밸류체인을 위한 에머슨의 차별화된 솔루션, 수소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구현을 위한 필수 요소 등을 발표했다.
전시회 셋째 날에는 업계 리더들이 모여 수소 경제의 미래를 논의하는 ‘리더스 서밋(Leaders Summit)’에 에머슨 마틴 반 데르 메르웨(Martin Van Der Merwe) S&D 아시아태평양 총괄 디렉터가 연사로 나섰다. 마틴 디렉터는 에머슨의 자동화 기술을 통한 수소 프로젝트의 미래 비전을 소개하고 “통합 엣지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으로 엔지니어링을 가속화해 설계 및 실행 시간 단축하고 운영 최적화를 통한 운영 비용 절감과 자산 활용도 향상 등을 기대할 수 있다”라고 발표했다.
한국에머슨 정재성 대표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수소 산업의 라이프 사이클 전반을 지원하는 에머슨의 자동화 솔루션 기술 역량과 인사이트를 널리 알릴 수 있게 되어 기쁘다”라며 “수소 산업에 대한 전문 지식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수소 미래 가속화를 위해 다양한 환경에 대응 가능한 기술과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국내외 업체와의 협업과 소통 기회를 대폭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
|
|
Smart MCCB로 5조규모 데이터센터 전력설비시장 ‘정조준’ 정밀계측·통신기능 강화...사용자 편의성·EMS 최적화도 UP |
|
|
LS일렉트릭이 미국 제품안전 인증인 UL(Underwriters Laboratories)을 획득한 스마트 차단기를 출시, 북미 데이터센터 시장 공략에 나선다.
LS일렉트릭은 미국 데이터센터 고객을 겨냥해 전력 상태 감시와 통신 기능을 한층 강화시키고 미국 판매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UL 인증을 획득한 ’Smart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 배선용 차단기)’를 출시했다고 17일 밝혔다.
기존 배선용 차단기 제품은 사고 전류를 차단하는 본연의 기능에 집중해왔지만 디지털화가 진행되는 에너지 산업을 중심으로 보호기능 뿐만 아니라 계측과 통신 기능이 추가된 스마트 차단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LS일렉트릭이 출시한 UL Smart MCCB 신제품. 이에 따라 LS일렉트릭의 ‘UL Smart MCCB’는 데이터센터 전력설비에 요구되는 고신뢰성과 제품간 연결성(Connectivity)을 만족시키기 위해 정밀 계측과 통신 기능을 강화했다.
기존 MCCB에 없는 정밀한 계측기능과 RS485, 블루투스 통신기능을 탑재하고 모니터링과 진단, 제어 등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한편 EMS(Energy Management System)에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최대 장점이다.
또한 제품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전류, 전압, 전력 등 계측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키패드를 활용해 다양한 계측, 진단 관련 데이터 값을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사고전류가 발생하는 즉시 차단기를 작동시켜 사고를 예방하는 트립 유닛(Trip Unit)은 보호, 계측하고자 하는 정보에 따라 ETSi(기본형), ETMi(RS485 통신), ETHi(전압계측), ETLi(무선통신) 등으로 다양하게 확보돼 있어 고객 요구에 따른 맞춤형 선택이 가능하다.
이처럼 강화된 기능을 앞세운 스마트 차단기에 대한 UL 인증을 아시아 기업 최초로 획득한 만큼 유럽, 미국 제조사 대비 가격과 납기 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 우위를 점하겠다는 게 LS일렉트릭의 계획이다.
북미 데이터센터 시장은 2023년 기준 약 31조원 수준이며, 이 가운데 UL Smart MCCB를 포함한 전력 설비 시장은 약 5조원 규모로 예상되는 만큼 현지 시장의 전력설비 공급망 다변화 기조를 계기로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복안이다.
LS일렉트릭 관계자는 “북미 시장은 데이터센터는 물론 에너지 신뢰성, 효율성을 고려한 전력 솔루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현지에서 전기제품를 판매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UL 인증을 확보한 만큼 Smart MCCB의 주요 고객군인 북미 데이터센터 시장은 물론 미국 배전시장에 대한 공략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 인버터는 동작시 발열이 많이 되므로 불에 타지 않는 재질로 되어 있는 곳에 취부되어야 하며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곳에 설치하여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전기 판넬 내부에 설치되는데 FAN의 공기순환을 방해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설치하여야 합니다.
제조사의 인버터 매뉴얼을 확인해 보면 인버터를 설치하는 기준이 표현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전기판넬이 협소하여 기준에 맞도록
설치 하는게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에는 최대한 FAN의 공기순환이 방해되지 않도록 설치하도록 하고 경우에 따라서 인버터 설치 공간을 별도의 판넬로 추가하는 것도 고려하거나 판넬 에어컨 설치도 고려하여야 합니다.
한가지 더 주의할 사항은 인버터는 기본적으로 노이즈를 발생시킵니다.
전기판넬 내에서 PLC 및 컨트롤러 등과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림은 LS산전에서 제공하는 G100 (C) 의 설치 기준입니다. |
|
|
계장공 뉴스 다이제스트 turbo244@naver.com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325, 신길동 리드스마트스퀘어 지식산업쎈터 1308호 031-216-5617수신거부 Unsubscribe |
|
|
|
|